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·연금상품·투자성향별 펀드

원하는 등급에 맞추어 쉬운 구매

투자성향별 펀드

* KCGI자산운용에서 정한 투자 위험 등급에 따른 분류에 따라 분류한 투자 등급입니다.
  • 펀드의 투자위험등급은 1등급(매우높은 위험)~ 6등급(매우 낮은 위험)으로 분류되며 각 등급별 표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  • 1등급(매우 높은 위험), 2등급(높은 위험), 3등급(다소 높은 위험), 4등급(보통 위험), 5등급(낮은위험), 6등급(매우낮은 위험)
상품명
기준가
수익률 (%)
수익률 추이

순자산 안내

순자산은 기본적으로 운용펀드기준으로 노출되며, 클래스가 있는 펀드의 경우 괄호안에 해당 클래스의 순자산이 노출됩니다.

KCGI더우먼증권투자신탁회사

[주식] C-Pe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990.96

122.01

9.84
36.35
43.39
26.72
72.13
83.21
96.66

Threshold

KCGI코리아스몰캡증권투자신탁

[주식] C-Pe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2,214.07

246.87

10.02
36.11
36.52
24.22
67.39
90.13
125.59

Threshold

KCGI ESG동반성장증권자투자신탁

[주식] C-Pe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482.98

16.66

8.62
35.24
38.67
27.23
-
-
49.04

KCGI코리아증권투자신탁1호

[주식] C-Pe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728.31

876.27

7.53
33.39
39.22
32.50
89.95
117.85
84.97

Threshold

KCGI코리아연금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1호

[주식] S-P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슈퍼-개인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435.83

14.47

7.78
33.05
39.02
33.06
89.02
116.86
139.12

Threshold

KCGI코리아퇴직연금증권자

[주식] C-Pe2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퇴직연금)

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363.18

786.39

7.73
32.90
38.86
32.86
88.86
117.14
135.74

Threshold

KCGI코리아증권자투자신탁

[주식혼합] C-P2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다소 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379.26

4.14

6.84
27.95
32.87
28.39
70.76
88.76
105.02

KCGI넥스트밸류EMP증권투자신탁

[주식혼합-재간접형] C-Pe (수수료미징구-온라인-개인연금)

다소 높은 위험

기준일 : 2025.07.14

1,076.45

30.55

5.65
26.84
37.16
26.11
48.06
-
7.65

  • - 금융상품판매업자는 투자자에게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,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.
  • - 본 자료 중 운용계획 및 전략 등은 시장상황 및 가격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  • - 증권거래비용,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,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.
  • - 재간접형펀드는 피투자펀드 보수 및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펀드에서 투자하는 대상국가의 시장, 정치 및 경제상황 등에 따른 위험으로 자산가치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외화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의 경우 헤지여부, 헤지비율 및 환율변동 등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. 또한 종류형 펀드의 경우, 종류별 집합투자증권에 부과되는 보수·수수료 차이로 운용실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- MMF는 시가와 장부가의 차이가 ±0.5%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 시가로 전환됩니다.
  • -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의 경우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- 레버리지 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으며, 레버리지펀드(2배, 인버스, 인버스 2배)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(지수)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